
우선 QR코드가 어드 샌가부터 일상생활에 많이 보인다고 생각했다.
특히 해외에 나가보면 더욱더 많이 보인다.
정보를 카메라로 인식시키면 인증, 정보, 결제, 페이지 등등 로직을 수행할 수 있으니
사용자 관점에서도 좋다고 생각한다.
그럼 기존에 있던 편의점 바코드와 QR코드의 차이점과
결제를 바코드로 하는 이유와 QR코드는 왜 사용 안 하는지 궁금했다.
QR코드와 바코드의 차이점? 공통점?
우리가 평소에 보기엔 같은 로직일듯하지만 찾아보니 굉장히 달랐다.
QR코드는 최대 숫자 7089자, 최대 문자 4296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인식이 가능하다.
하지만 바코드는 20자 정도밖에 저장불가하며 수평으로 인식해야 한다.
또한 전용 바코드 스캐너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요즘은 휴대폰 어플로 바코드도 인식이 가능하지만)
구분 | 바코드(Barcode) | QR코드(QR Code) |
형태 | 일차원(1D) 선형 | 이차원(2D) 격자무늬 패턴 |
저장 용량 | 수십 자 | 최대 약 7,000자 |
스캔 장치 | 전용 바코드 스캐너 | 스마트폰 카메라, QR코드 리더기 |
정렬 요구 | 정렬 필요 | 정렬 불필요, 약간의 왜곡 가능 |
정보 유형 | 간단한 상품 식별 번호 | URL, 연락처, 지불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
보안 | 비교적 안전 | 악성 QR코드로 인한 보안 위험 존재 |
사용 편의성 | 간단하고 빠름 | 스마트폰 앱 필요, 인식 속도 느릴 수 있음 |
결제수단을 바코드로 하는 이유?(주로) 혹은 QR코드를 사용 안 하는 이유는?
내 궁금증이었던 결제수단을 왜 바코드로 할까? 이유는 이미 선점된 바코드 스캐너 인프라가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장비를 설치해서 비용을 증가시킬 이유가 없다.(장기적으로 봤을 땐 QR이 좋은 것 같은데…) 또한 구현성과 관리가 비교적 간단하며 속도가 빠르다는 측면에서 한국에 유독 바코드가 많은 것 같기도 하다.
QR코드를 사용 안 하는 이유도 위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역시 기존 바코드 인프라가 있는데 굳이 QR을 넣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며 , 가장 큰 이유는 고착화된 우리나라 신용카드 위주의 결제시장이다.
다이소는 왜 QR코드인가?
가만 보니
한국 오프라인 매장에서 QR코드 결제로직을 쓰는 기업이 뭐가 있지 생각해 보던 중
다이소가 떠올랐다.
다이소가 왜 QR를 왜 사용할까
내가 생각한 이유 1. 다이소는 2020년부터 셀프 계산대로 전면 탈바꿈했다.
따라서 무인화가 되어 수평으로만 인식이 되는 바코드를 사용하면 QR보다 인식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한 이유 2. 방대한 제품들 다이소는 제품이 정말 다 있기 때문에 그 QR안에 제품정보와 추가 상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QR을 사용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한 이유 3. 일본브랜드라서 그런가? 일본에는 한국보다 QR시스템이 잘되어있기 때문에
한국에도 통일을 하기 위해 적용을 한 것인가.?
여하튼 결과론적으로 2024년 지금 현재 다이소의 QR코드는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기존 바코드보다 인식률이 느리다는 생각은 해본 적도 없을뿐더러
개발자입장에서는 QR코드에 더욱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관리가 더욱 용이하다고 보인다.
QR코드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QR코드를 활용할수있는 방법은 무궁무진이다.
결제, 금융, 마케팅, 교육, 헬스케어, 티켓팅, 위치정보 등등 여러 이벤트를 담아 QR코드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QR코드의 로직을 한번 깊게 공부해 보며 JAVA언어로 작성해 볼 예정이다.

우선 QR코드가 어드 샌가부터 일상생활에 많이 보인다고 생각했다.
특히 해외에 나가보면 더욱더 많이 보인다.
정보를 카메라로 인식시키면 인증, 정보, 결제, 페이지 등등 로직을 수행할 수 있으니
사용자 관점에서도 좋다고 생각한다.
그럼 기존에 있던 편의점 바코드와 QR코드의 차이점과
결제를 바코드로 하는 이유와 QR코드는 왜 사용 안 하는지 궁금했다.
QR코드와 바코드의 차이점? 공통점?
우리가 평소에 보기엔 같은 로직일듯하지만 찾아보니 굉장히 달랐다.
QR코드는 최대 숫자 7089자, 최대 문자 4296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인식이 가능하다.
하지만 바코드는 20자 정도밖에 저장불가하며 수평으로 인식해야 한다.
또한 전용 바코드 스캐너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요즘은 휴대폰 어플로 바코드도 인식이 가능하지만)
구분 | 바코드(Barcode) | QR코드(QR Code) |
형태 | 일차원(1D) 선형 | 이차원(2D) 격자무늬 패턴 |
저장 용량 | 수십 자 | 최대 약 7,000자 |
스캔 장치 | 전용 바코드 스캐너 | 스마트폰 카메라, QR코드 리더기 |
정렬 요구 | 정렬 필요 | 정렬 불필요, 약간의 왜곡 가능 |
정보 유형 | 간단한 상품 식별 번호 | URL, 연락처, 지불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
보안 | 비교적 안전 | 악성 QR코드로 인한 보안 위험 존재 |
사용 편의성 | 간단하고 빠름 | 스마트폰 앱 필요, 인식 속도 느릴 수 있음 |
결제수단을 바코드로 하는 이유?(주로) 혹은 QR코드를 사용 안 하는 이유는?
내 궁금증이었던 결제수단을 왜 바코드로 할까? 이유는 이미 선점된 바코드 스캐너 인프라가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장비를 설치해서 비용을 증가시킬 이유가 없다.(장기적으로 봤을 땐 QR이 좋은 것 같은데…) 또한 구현성과 관리가 비교적 간단하며 속도가 빠르다는 측면에서 한국에 유독 바코드가 많은 것 같기도 하다.
QR코드를 사용 안 하는 이유도 위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역시 기존 바코드 인프라가 있는데 굳이 QR을 넣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며 , 가장 큰 이유는 고착화된 우리나라 신용카드 위주의 결제시장이다.
다이소는 왜 QR코드인가?
가만 보니
한국 오프라인 매장에서 QR코드 결제로직을 쓰는 기업이 뭐가 있지 생각해 보던 중
다이소가 떠올랐다.
다이소가 왜 QR를 왜 사용할까
내가 생각한 이유 1. 다이소는 2020년부터 셀프 계산대로 전면 탈바꿈했다.
따라서 무인화가 되어 수평으로만 인식이 되는 바코드를 사용하면 QR보다 인식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한 이유 2. 방대한 제품들 다이소는 제품이 정말 다 있기 때문에 그 QR안에 제품정보와 추가 상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QR을 사용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한 이유 3. 일본브랜드라서 그런가? 일본에는 한국보다 QR시스템이 잘되어있기 때문에
한국에도 통일을 하기 위해 적용을 한 것인가.?
여하튼 결과론적으로 2024년 지금 현재 다이소의 QR코드는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기존 바코드보다 인식률이 느리다는 생각은 해본 적도 없을뿐더러
개발자입장에서는 QR코드에 더욱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관리가 더욱 용이하다고 보인다.
QR코드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QR코드를 활용할수있는 방법은 무궁무진이다.
결제, 금융, 마케팅, 교육, 헬스케어, 티켓팅, 위치정보 등등 여러 이벤트를 담아 QR코드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QR코드의 로직을 한번 깊게 공부해 보며 JAVA언어로 작성해 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