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스터디

HTTP 상태 코드 기초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즉 웹 서버와 웹클라이언트는 각각 TCP/IP 동작에 필수적인 IP 주소를 가져야합니다. HTTP 전송에서는 컴퓨터에서 다룰수 있는 데이터라면 무엇이든 전송할수있습니다. https://www.naver.com를 입력했을때 수많은 요청과 응답이 보내집니다. (250회 이상) 이 요청에서 서버에서의 처리상태의 코드를 확인할수있는데 이것이 바로 상태 코드입니다. http 상태코드 정리 위 사진에서 첫번째 숫자에 따라 5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임시 응답으로..
인터넷에서 정보의 흐름을 방해하는것은? 네트워크는 패킷 헤더의 정보만 올바르게 표현되어있다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상관없이 패킷을 전달하게 됩니다. 즉 그 패킷에 내용은 상관없이 전송을하게됩니다. 이것을 망중립성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국가, 기관 , 여러 관계, 기업 등등에서 불특정 클라이언트들이 자신의 인터넷 서비스에 접근하는 경우를 막는 경우가 있습니다. 검열 을 통해서 말이죠. 검열을 시행하는방법 차단 - 특정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하지못하도록 로컬 ISP가 차단 방식을 사용해 접근 제한함 필터링 - 접근하려는 콘텐츠에 특성에 따라 접근을 제한하는 방식 - 다방면으로 활용가능(특정 단어나 , 영상, 이미지를 제한함) 스토틀링- 서비스 저하 /차등 제공 어떤 웹사이트의 점속을 의도적으로 어렵..
인터넷에서 사람과 정보는 어떻게 관계를 맺을까? 도메인 이름 체계(DNS) DNS는 공개적이고 분권화된 데이터베이스 입니다. DNS를 사용하면 숫자가 아닌 문자 형식의 고유한 이름을 IP 주소, 위치 , 기타 데이터 와 연결할수있습니다. www.naver.com , www.google.com 이 DNS라고합니다. 도메인의 이름은 최소 두 부분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점) 으로 구분 되어 앞에오는 점이 최상위 도메인이라고합니다. 도메인은 어떻게 IP 주소로 변환될까? 예를들어 크롬에서 도메인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로컬DNS 변환기에 해당 도메인 이름의 IP주소를 문의하고 로컬DNS 변환기가 주소를 모르는 경우에는 최상위 계층 서버 . 즉 루트 서버에 다시 요청을 보냅니다. 만약 루트서버도 모른다면 ..
3주차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 (IPSec) 패킷은 인터넷 목적지에 도달할때까지 여러 라우터를 거치면서 패킷을 읽고 수정할수있다. 추가적으로 악용을하는 사람들은 패킷을 복제 , 수정이 가능하다. 이 기능을 악용하면 누군가 패킷태그에 가짜 발신 IP 주소를 써서 해당 데이터 패킷을 다른 컴퓨터가 보내는 것 처럼 만들수있다. 이것이 IP 스푸핑 이라고 합니다. ( 즉 다른사람이 보낸척을 하면서 발신지에 혼란을 줄수도있다.) 지금까지 배운 점 간단히 정리해보기 1.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패킷의 형태로 이동 2.패킷 헤더에는 발신지 및 목적지 주소 정보들이 담겨있음. 3.라우터는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한다. 인터넷의 지도 인터넷은 하나의 거대한 단일 네트워크가 아닌건 다들 알고 있을것입니다. ISP, 통신사, 학교..
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은 기기가 인터넷에서 어떤식으로 통신해야할지 오류발생시 어떤 행위를 해야하는지 에대한 규약을 정해놓은것이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OSI 7계층중 네트워크계층인 3계층입니다. *패킷은 데이터의 작은 부분입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는 패킷으로 나뉩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실행되는 프로토콜은 IPsec: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IPsec)은 가상 사설망(VPN)을 통해 암호화되고 인증된 IP 연결을 설정합니다.기술적으로, IPsec은 하나의 프로토콜이 아니라 캡슐화 보안 프로토콜(ESP), 인증 헤더(AH), 보안 연결(SA)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모음입니다.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은 오류를 보고하고 상태 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예를 들어 라우터가 패킷..
락곤이
'네트워크 - 스터디'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