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7~2023-08-02
<7/28>
*전반적인 경험**
Java Servlet 및 JSP를 학습한내용은 웹사이트를 만들며 실질적으로 보람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웹 개발을 위한 강력한 도구인것을 알았고 동적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기초를 얻었습니다.
**좋았던 점**
과정 중에 많은 예제와 실습 세션이 있어서 개념을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기억나는 부분은 포괄적인 기능: Java 서블릿은 HTTP 요청 및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서버 측 처리 및 동적 콘텐츠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인상적입니다.
**아쉬웠던 점**
저는 Java Servlets 및 JSP를 배우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요청/응답 처리, 세션 관리 및 배포의 개념은 처음에는 요청응답부분은 정말 감이안잡혔습니다.
**개선할 점**
점차 복잡성이 증가하는 더 만큼 실습 프로젝트와 연습이 있으면 유익할것같습니다.
학습 방식을 강구하고 프로젝트를 하며 실제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7/31>
.**전반적인 경험**
- jsp와 서블릿을 이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웹 개발의 기본적인 원리와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DTO와 VO는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자바 객체로, DTO는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이고, VO는 값 객체로서 동일성을 갖는 객체입니다.
- DB 커넥션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는 과정으로, JDBC API를 사용하여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연결 객체를 생성하고, 쿼리를 실행하고, 결과를 처리하고, 연결을 닫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좋았던 점**
- jsp와 서블릿을 사용하여 계산기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어서 뿌듯했습니다.
- jsp는 html 코드 안에 자바 코드를 삽입할 수 있어서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 서블릿은 자바 클래스로서 웹 서버에서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 DTO와 VO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달과 저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습니다.
- DB 커넥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아쉬웠던 점**
- jsp와 서블릿의 생명주기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 DTO와 VO의 차이점과 사용 시 주의점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 DB 커넥션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처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개선할 점**
- jsp와 서블릿의 생명주기에 대해 더 공부하고, 각 단계에서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DTO와 VO의 차이점과 사용 시 주의점에 대해 더 공부하고, 적절한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DB 커넥션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처리에 대해 더 공부하고, try-catch-finally 구문이나 try-with-resources 구문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연결을 닫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8/1>
### 전반적인 경험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Java에서 빌더 패턴, 서블릿, JSP, JDBC PreparedStatement를 활용하여 MVC 패턴으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처음에는 개념이 어려웠지만, 책과 강의를 통해 공부하고, 직접 코드를 작성하면서 점차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MVC 패턴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MVC 패턴은 프로그램의 구조를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패턴으로, 앞으로의 개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좋았던 점
MVC 패턴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좋았습니다.
Java에서 빌더 패턴, 서블릿, JSP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방법을 배운 것이 좋았습니다.
직접 코드를 작성하면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것이 좋았습니다.
### 아쉬웠던 점
utf-8을 사용해서 한글을 안깨질수있게 해야했는데 이오류를 해결하느라 작업이 늦춰졌습니다.
### 개선할 점
앞으로의 개발에서 MVC 패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빌더패턴과 코드를 단축시킬수있는 방안들을 항상 생각할것입니다.
전반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는 Java 개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앞으로도 Java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8/2>
전반적인 경험
오늘은 서블릿과 JSP, MVC 패턴을 활용하여 뉴스 CRUD 페이지, 학생 관리 페이지, TODO 리스트 페이지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차근차근 따라 하다 보니 금방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MVC 패턴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그만큼 보람도 있었습니다.
좋았던 점
MVC 패턴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뉴스 CRUD 페이지, 학생 관리 페이지, TODO 리스트 페이지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많은 미니프로젝트들이 MVC 아키텍처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쉬웠던 점
코드가 조금 지저분했습니다.
디자인적인 부분이 조금 부족했습니다.
시간이 너무 짧아서 급하게 했던것같습니다.
다음주 계획
스프링 에대해서 좀더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지금 하고있는 네이버 클론코딩 frontend 프로젝트를 마무리해야겠습니다.
또한 하루에 정해둔 일을 놓치지않고할것입니다.
이번주에 배운내용 정리글
https://kjh0811.tistory.com/53
서블릿과 JSP를 활용하여 간단한 뉴스 CRUD 웹페이지
서블릿과 JSP를 활용하여 간단한 뉴스 CRUD 웹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이 웹페이지를 만들게 된 목적은 서블릿과 JSP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간단하게라도 적용해보고 완성해보기싶었기 때문입니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44
서블릿(Servlet) 과 JSP 알아보기
자바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루는 데 있어서 기본기를 튼튼히 다지기 위해서는 서블릿과 JSP라는 두 가지 핵심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서블릿(Servlet)과 JSP(JavaServer Page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52
MVC 패턴이란?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 플리케이션을 모델, 뷰 및 컨트롤러의 세 가지 상호 연결된 구성 요소로 분리하기 위해 웹 개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명확한 책임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48
Could not find or load GradleWorkerMain 인텔리제이
junit5를 이용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중 샘플 테스트를 실행시키던중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 이런오류가생겼습니다... 우선해결법은 gradle -> wrapper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49
자바에서 builder()... @builder 는 뭘까?
builder 빌더 패턴은 객체를 생성할 때에 필요한 필드 값을 체인 방식으로 설정하고, build() 메소드를 호출하여 최종적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습니다.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51
jdbc PreparedStatement
jdbc PreparedStatement 정적 SQL 쿼리와 값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객체입니다. PreparedStatement를 사용하면 SQL 쿼리를 미리 컴파일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쿼리를 여러 번 실행할 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50
UUID 고유한 식별자 in java
자바에서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자로,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입니다1. UUID는 32개의 16진수와 4개의 하이픈으로 구성되며, 총 36자리의 문자열로 표현됩니다2.
kjh0811.tistory.com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이데이터 7주차 회고 (0) | 2023.08.10 |
---|---|
플레이데이터 6주차 회고 (0) | 2023.08.04 |
플레이데이터 4주차 회고 (0) | 2023.07.25 |
플레이데이터3주차 회고 (0) | 2023.07.25 |
플레이데이터 2주차 회고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