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03~2023-08-09
<8/3>
개선할 점
코드를 리팩토링하여 더 깔끔하게 만들겠습니다.
또한, 디자인적인 부분도 더 신경쓰고, 부트스트랩이나 제이쿼리와 같은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더 다양하고 세련된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할것입니다.
오늘의 경험을 통해 웹 개발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공부하여 더 훌륭한 웹 개발자가 되겠습니다.
전반적인 경험
지금까지배웠던 내용들을 리프레쉬하며 다시 코드를 봤습니다.
이경험은 알고있던내용이라고 생각을 복습을 했지만 다시 복습을하니 내가 알고있다고 생각한 부분도 잘몰랐었다는것을 알수있었습니다.
Model Mapper 라이브러리는 자바 객체 간의 매핑을 쉽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Model Mapper는 리플렉션과 인텔리전스를 사용하여 소스와 목적지 객체 간의 필드와 메소드를 자동으로 매핑합니다. Model Mapper는 성능, 유연성, 편의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좋았던 점
머리를 식히고 차분히 코드를 해석하고 보기만하는것이 오히려 코드를 타이핑하며 작업을 할때보다 좋았던것같습니다.
Model Mapp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복잡한 매핑 로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TO와 엔티티 간의 변환을 Model Mapper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Model Mapper는 타입 변환, 컬렉션 매핑, 조건부 매핑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Model Mapper는 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스프링 부트와도 잘 호환됩니다.
아쉬웠던 점
Model Mapper는 디버깅하기 어렵고, 소스와 목적지 객체의 필드 이름이 같지 않거나, 매핑 규칙이 복잡한 경우에는 Model Mapper가 올바르게 매핑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개선할 점
이런식으로 코드를 치는것뿐만아니라 해석하고 보는 능력을 기르면 더욱 좋을것같습니다.
<8/4>
**전반적인 경험**
오늘은 REST API에 대한 강의를 들었고, REST API의 정의, 설계 원칙, 특징, 보안, 주의점에 대해 배웠습니다. REST API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정의하는 아키텍처 스타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REST API는 웹 서비스 개발에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좋았던 점**
강의는 REST API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었습니다. 또한, 강의에서는 다양한 예제를 통해 REST API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보여줬습니다. 강의는 REST API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되었고, REST API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아쉬웠던 점**
REST API의 보안과 주의점에 대해 더 자세히 봤으면 좋았겠습니다. REST API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정의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이기 때문에, 보안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REST API는 잘못 사용하면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REST API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개선할 점**
강의에서 REST API의 보안과 주의점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REST API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더 많이 제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8/7>
전반적인 경험
오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AOP, IoC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로,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AOP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한 형태로,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과 공통 관심사 코드를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IoC는 컨트롤의 역전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개발자가 객체의 생성과 관리를 프레임워크에게 위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좋았던 점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AOP와 IoC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 쉽고 편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쉬웠던 점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모든 기능과 특징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AOP와 IoC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실습이 필요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개선할 점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모든 기능과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공부를 할 것입니다.
AOP와 IoC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실습을 할 것입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입니다.
<8/8>
### 전반적인 경험
오늘은 스프링 부트와 Thymeleaf를 활용해서 게시판을 만들어보는 경험을 해봤습니다. 댓글 기능을 만들면서 일대다 매핑을 해보는 것도 처음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차근차근 따라하다 보니 생각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 좋았던 점
* 스프링 부트와 Thymeleaf는 사용하기 쉽고, 문서가 잘 되어 있어서 빠르게 익힐 수 있었습니다.
* 댓글 기능을 만들면서 일대다 매핑을 해보는 것은 새로운 경험이었지만, 생각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 게시판을 만들어보니, 내가 만든 게시판을 다른 사람들이 사용한다는 생각에 뿌듯했습니다.
### 아쉬웠던 점
* 게시판을 만들면서, 댓글을 작성할 때마다 해당 게시물의 ID를 입력해야 하는 것이 번거로웠습니다.
* 게시판의 디자인을 좀 더 꾸밀 수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 개선할 점
* 댓글을 작성할 때마다 해당 게시물의 ID를 입력해야 하는 것을 개선하고 싶습니다.
* 게시판의 디자인을 좀 더 꾸미고 싶습니다.
* 게시판의 기능을 좀 더 다양하게 구현하고 싶습니다.
전반적으로 스프링 부트와 Thymeleaf를 활용해서 게시판을 만들어보는 경험은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스프링 부트와 Thymeleaf를 활용해서 더 많은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8/9>
### 전반적인 경험
오늘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뉴스 API를 구현하고, 스프링 MVC 패턴에 대해 복습하고,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웹 프로그래밍의 구조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 좋았던 점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뉴스 API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쉽고 직관적이었습니다.
* 스프링 MVC 패턴에 대해 복습하면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을 이해함으로써,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적절한 서버를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 웹 프로그래밍의 구조에 대해 공부하면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와 그들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아쉬웠던 점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모든 기능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스프링 MVC 패턴을 사용하여 더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었습니다.
*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성능 차이를 이해하고 싶었습니다.
* 웹 프로그래밍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었습니다.
### 개선할 점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모든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입니다.
* 스프링 MVC 패턴을 사용하여 더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더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입니다.
*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성능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테스트를 진행할 것입니다.
* 웹 프로그래밍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므로, 관련 책을 읽고 강의를 수강할 것입니다.
밑링크는 위기간동안 학습한내용중 일부를 포스팅한 글입니다.
https://kjh0811.tistory.com/54
Model Mapper 라이브러리란
Model Mapper 라이브러리란? ModelMapper는 Java의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로, 객체 간의 매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ModelMapper를 사용하면, 객체의 필드 이름이나 속성만으로 객체 간의 매
kjh0811.tistory.com
https://kjh0811.tistory.com/58https://kjh0811.tistory.com/59
네이버 클론 코딩(3) 클론 마무리 회고
네이버 클론코딩 후기 안녕하세요 이번에 네이버 클론코딩을 하면서 느낀 점, 좋았던 점, 보완하고 싶은 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느낀점 네이버 클론코딩을 하면서 HTML과 CSS의 기본적인 개념을
kjh0811.tistory.com
Thymeleaf 알아보기 (+ 예제)
Thymeleaf는 서버사이드 자바 템플릿 엔진으로 HTML 5에 기반한 서버 측 템플릿 엔진입니다. HTML 5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며, HTML, XML, JavaScript 및 CSS를 모두 포함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은 대부분 JSP위
kjh0811.tistory.com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이데이터 8주차 회고 (0) | 2023.08.16 |
---|---|
플레이데이터 7주차 회고 (0) | 2023.08.10 |
플레이데이터 5주차 회고 (0) | 2023.07.27 |
플레이데이터 4주차 회고 (0) | 2023.07.25 |
플레이데이터3주차 회고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