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은 기기가 인터넷에서 어떤식으로 통신해야할지 오류발생시 어떤 행위를 해야하는지 에대한 규약을 정해놓은것이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OSI 7계층중 네트워크계층인 3계층입니다. *패킷은 데이터의 작은 부분입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는 패킷으로 나뉩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실행되는 프로토콜은 IPsec: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IPsec)은 가상 사설망(VPN)을 통해 암호화되고 인증된 IP 연결을 설정합니다.기술적으로, IPsec은 하나의 프로토콜이 아니라 캡슐화 보안 프로토콜(ESP), 인증 헤더(AH), 보안 연결(SA)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모음입니다.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은 오류를 보고하고 상태 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예를 들어 라우터가 패킷..
해시 테이블 해시 테이블과 힙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해시테이블의 구조 키(Key)에 데이터(Value)를 매핑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 - 해쉬 함수를 통해, 배열에 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인덱스 번호)를 계산 - Key를 통해 바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알 수 있으므로, 저장 및 탐색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 - 미리 해쉬 함수가 생성할 수 있는 주소(인덱스 번호)에 대한 공간을 배열로 할당한 후, 키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및 탐색 지원 Direct-address table 키의 전체 개수와 동일한 크기의 버킷을 가진 해시테이블을 Direct-address table이라고 합니 다. Direct-address table의 장점은 키 개수와 해시테이블 크기가 동일..
스택 Slack 그리고 큐 Queue 스택 데이터를 한쪽끝에서만 넣었다 뻈다 하는 구조. 스택은 LIFO (Last In, Fast Out) FILO( First In Last Out) 데이터 관리 방식을 따름 대표적인 스택으 활용으로는 컴퓨터 내부의 프로세스 구조의 함수 동작 방식 스택의 장단점 장점 : 구조가 단순해서 , 구현이 쉽다. 또한 데이터 저장시 읽기 쓰기 속도가빠르다 단점: 데이터의 최대 저장 갯수를 미리 정해야함, 또한 저장공간의 낭비가 일어날수있음. 스택은 단순하고 빠른 성능을 얻기위해 사용되므로 , (파이썬제외)배열 구조를 활용해서 구현하는것이 보편적이다. 큐 구조 큐는 줄서는 행위와 유사함 가장 먼저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낼 수 있는 구조 음식점에서 가장 먼저 줄을 선 사람이 ..
우선 파이썬 문법을 급하게 공부하는 이유는 코딩테스트에 파이썬이 가장 적합하다는것을 이제 깨달았다. 아무리 자바를 사랑하고 애정을 가진다해도 코딩테스트 만큼은 파이썬으로 공부하리.. 파이썬 변수 선언과 자료형 파이썬에서 새 변수를 만들 때는 변수이름 = 값의 형태 . a = b와 b = a는 다르다 숫자형과 자료형 a = 7 b = 2 a+b # 9 a-b # 5 a*b # 14 a/b # 3.5 a//b # 3 (몫) a%b # 1 (나머지) a**b # 49 (거듭제곱) bool 자료형 참/ 거짓을 나타내는 boolean 자료형 x = True # 참 y = False # 거짓 # 소문자로 쓰면 자료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변수명이라 생각해 에러가 납니다~ z = true # name 'true' is ..
JPA 소개 객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려면 많은 시간과 코드를 소비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바 진영에서는 JPA(Java Persistence API)라는 표준 기술을 제공합니다. JPA와 ORM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관계를 매핑하는 방법론입니다. JPA는 ORM을 자바에 적용한 표준 기술로, SQL 작성 없이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저장할 수 있게 도와주며, 객체와 데이터베이스의 차이도 중간에서 해결해줍니다. JPA vs SQL Mapper SQL 매퍼인 MyBatis나 스프링의 JdbcTemplate을 사용하면 JDBC 코드를 많이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등록(Create), 수정(Update), 삭제(D..
2023-08-31~2023-09-06 경험: 스프링부트에서 서버간 통신 RestTemplate의 동작 원리와 대표적인 메서드를 공부하였습니다. 서버 프로젝트를 실제로 사용하며 구현 및 커스텀을 하였습니다. web client도 구성해보았습니다. 좋았던 점: RestTemplate의 동작 원리와 대표적인 메서드를 공부하여 서버간 통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서버 프로젝트를 실제로 사용하며 구현 및 커스텀을 함으로써 실무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web client를 구성해봄으로써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아쉬웠던 점: RestTemplate의 메서드를 어떻게 적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web client가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추가적인 공부가 필요했습니다.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