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첫번째 부분은 아래링크에서 확인할수있습니다.
네이버 클론 코딩(1) 포스팅에서는 상단 아이콘과 검색창을 클론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검색창 하단에있는 아이콘들과 메인창 섹션을 나눠볼 예정입니다.
<div id="nav">
<ul>
<li>
<a href="">
<div></div>
<span>메일</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카페</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블로그</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쇼핑</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뉴스</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증권</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부동산</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지도</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웹툰</span>
</a>
</li>
<li>
<a href="">
<div></div>
<span></span>
</a>
</li>
</ul>
</div>
위 코드와 같이 html에서
li태그 , a태그, div태그 ,span태그를 활용하여 html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주요 css 정리
**display**
display 속성은 요소의 렌더링 방법을 지정합니다. display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block: 요소를 블록으로 렌더링합니다. 블록은 줄 바꿈을 생성하는 요소로, 화면의 너비를 가득 채웁니다.
* inline: 요소를 인라인으로 렌더링합니다. 인라인은 줄 바꿈을 생성하지 않는 요소로, 다른 요소와 함께 한 줄에 표시됩니다.
* inline-block: 요소를 인라인 블록으로 렌더링합니다. 인라인 블록은 인라인 요소의 특성과 블록 요소의 특성을 모두 갖는 요소입니다.
* none: 요소를 렌더링하지 않습니다.
**list-style-type**
list-style-type 속성은 목록의 항목 앞에 표시되는 마커의 유형을 지정합니다. list-style-type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disc: 둥근 마커
* circle: 원형 마커
* square: 사각형 마커
* none: 마커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justify-content**
justify-content 속성은 컨테이너의 내용을 수평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justify-content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flex-start: 컨테이너의 시작 부분에 내용을 정렬합니다.
* flex-end: 컨테이너의 끝 부분에 내용을 정렬합니다.
* center: 컨테이너의 가운데에 내용을 정렬합니다.
* space-between: 컨테이너의 내용을 균등하게 간격을 두고 정렬합니다.
* space-around: 컨테이너의 내용을 균등하게 간격을 두고 정렬하고, 양쪽 끝에 여백을 추가합니다.
**font-size**
font-size 속성은 요소의 글자 크기를 지정합니다. font-size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px: 픽셀 단위
* em: 상대 단위로,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정됩니다.
* rem: 절대 단위로, 루트 요소의 글자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정됩니다.
**line-height**
line-height 속성은 요소의 줄 간격을 지정합니다. line-height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px: 픽셀 단위
* em: 상대 단위로, 부모 요소의 글자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정됩니다.
* rem: 절대 단위로, 루트 요소의 글자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정됩니다.
**position**
position 속성은 요소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position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static: 요소의 위치를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 relative: 요소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지정하고, 요소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absolute: 요소의 위치를 절대 위치로 설정하고, 부모 요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요소의 위치를 조정합니다.
* fixed: 요소의 위치를 고정 위치로 설정하고, 브라우저의 스크롤에 따라 요소의 위치가 변하지 않습니다.
**z-index**
z-index 속성은 요소의 겹침 순서를 지정합니다. z-index 속성의 값은 정수이며, 값이 높을수록 요소가 더 위에 표시됩니다.
**content**
content 속성은 요소의 콘텐츠를 지정합니다. content 속성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string: 문자열
* element: 요소
* function: 함수
위의 속성들은 클론코딩을 하여 이번포스팅에서 주요로 사용한 속성들입니다.
위 영상은 네이버와 클론네이버 비교를한 영상입니다.
저는 웹사이트클론작업시 위와같이 같은 너비를 설정하고 개발자도구를 켜 창을 바꿔가며 비교하는편입니다.
장점으로는 속성들의 너비와 높이 등을 확인할때 확실히 수월한것같습니다.
다음으로는 메인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
<main id="main">
<div id="main-left">
<aside id ="main-left-ad"></aside>
<section id="main-newstand"></section>
<section id="main-shopping"></section>
</div>
<div id="main-right">
<section id="main-login"></section>
<aside id ="main-right-ad"></aside>
</div>
</main>
메인의 구조는 간단하게 이런식으로 나눠봤습니다.
저는 main,section 등 시멘틱 태그를 사용하였습니다.
시멘틱태그
시멘틱 태그란 HTML에서 태그의 이름이 그 내용과 목적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태그입니다.
HTML5에서는 새로운 시멘틱 태그들이 도입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main>, <aside>, <section>, <article> 등이 있습니다.
시멘틱 태그를 사용하면 웹 페이지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와 개발자 모두에게 태그의 의미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시멘틱 태그는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기에도 도움이 되고, 코드 최적화에도 유리합니다.
위와 같이
광고 , 로그인 , 섹션 창들을 나누면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클론 코딩(3) 클론 마무리 회고 (0) | 2023.08.08 |
---|---|
네이버 클론 코딩(1) (0) | 2023.07.25 |
비주얼스튜디오 코드 (Visual Studio Code) 설치방법 , 초기세팅 , 플러그인 추천 (0) | 2023.07.24 |